지난 시간 랜케이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실드(차폐) 케이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랜케이블과 실드케이블은 뭐가 틀린가?
랜케이블 (Patch Cord) : 보호막이 얇아 쉽게 휘는 특성이 있습니다. 주로 장치(스위치/허브) 주변의 기기와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커넥터는 작은 RJ45 커넥터를 쓰기 좋습니다.
실드(차폐) 케이블 (Shielded Cable) : 장비와 장비 사이 케이블 연결 시 케이블 손상의 위험이 있는 곳에 주로 사용합니다.
장비가 설치된 Rack과 Rack사이를 연결할때 건물을 통과하거나 할 때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 보이는 안쪽 심선 주변의 은박지는 커넥터 작업 시 제거하며, 망처럼 엮여있는 철선은 차폐 역할을 하며, 커넥터 작업 시 돌돌 말아 커넥터로 연결하거나 제거합니다.
랜케이블 커넥터와 실드케이블 커넥터는 다른가?
랜케이블 커넥터는 지난시간 본 것과 같은 RJ-45 커넥터를 주로 사용합니다. 몸통부분이 작아 어디든 꼽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실드 케이블의 커넥터는 아래의 첫 번째 사진에 있는 길게 생긴 커넥터를 사용하거나, 두 번째 사진에 있는 snap in connector를 사용합니다.
다시 말하면, 랜케이블의 RJ-45 커넥터는 용도가 근처의 장비 연결 용임으로 작고 간단하며, 실드 케이블의 커넥터는 원거리 장치 연결용 혹은 CAT6 패치 패널(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에 연결되는 위의 Snap in connector연결용으로 사용됩니다.
실드 케이블과 패치 패널?
PPT로 휙~ 하고 그린 내용이라 투박하긴 하지만.. 위의 나와있는 내용을 종합한 가장 쉬운 이해가 아닐까 싶습니다.
처음 네트워크를 접하면 케이블 타입과 랙 구성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데요.. 지난번 이야기한 내용과, 오늘 포스팅한 내용을 종합하면 아래의 CAT6 Cable을 이용한 1차적 Structure Cabling 구성은 완료가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광케이블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System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Address(맥주소)란? 장비별 제조사 확인법 (0) | 2021.08.27 |
---|---|
광케이블 (Fiber Optic Cable)이란? (0) | 2021.07.23 |
LAN Cable (Cat6 Network Cable) 이란? (0) | 2021.04.29 |
Billing Software [Cisco CUCM], 통화 사용량 분석 (0) | 2021.04.29 |
시스코 콘솔 케이블 연결 (PuTTY, RS-232) (1) | 2021.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