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이유는 랜케이블이 가지는 거리의 한계 (90~100m)를 극복하기 위함입니다.
광케이블의 특성/종류/방식/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광케이블의 멀티모드, 싱글모드
광케이블 코어(유리관)은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광신호를 전달합니다.
내심의 크기가 작을수록 광신호는 더 멀리 이동하며, 클수록 짧은 거리에 전합니다.
멀티모드(MM) : 50um ~62um / 단거리 대역폭 집약적(광원 : LED)
싱글모드(SM) : 8-9um / 장거리 (광원 : 레이저)
* um은 마이크로미터이며 미터의 백만분의 일의 단위입니다.
광케이블과 랜케이블의 차이점
광케이블과 랜케이블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아래와 같은 구분입니다.
광케이블 : 광섬유/빛의 파장
랜케이블 : 구리/RF 주파수
파장은 빛의 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광원이 광섬유를 이동하는 동안 다른 색의 빛과 간섭하지 않습니다.
멀티모드 파장 : 850nm ~ 1300nm
싱글모드 파장 : 1310nm ~ 1550nm
* nm은 나노미터이며
10의-9승 m
멀티모드 광케이블 종류
아래와 같은 종류별 광케이블을 용도에 따라 사용합니다.
종류 | 색상 | 코어크기 | 속도 | 거리 | 적용 |
OM1 | 주황색 | 62.5um | 1Gb@850nm | 300m | 단거리 사설 LAN |
OM2 | 주황색 | 50um | 1Gb@850nm | 600m | 단거리 사설 LAN |
OM3 | 아쿠아 | 50um | 10Gb@850nm | 300m | 대규모 사설망 |
OM4 | 아쿠아 | 50um | 10Gb@850nm | 550m | 고속네트워크 |
OM5 | 라임그린 | 50um | 60Gb~100Gb@ 850nm~953nm |
고속네트워크센터 |
광케이블의 연결
광케이블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광케이블의 연결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작업을 해본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이론상으로 이해하기 가장 힘든 부분인데요..
이해를 쉽게 돕기 위해서 아래의 그림을 참고로 보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
위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광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성도를 Sample로 만든 것입니다.
광케이블 :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는 주제입니다.
FO 점퍼코드 : 여러 가닥의 광케이블을 하나씩 분리 후 FO Patch Panel의 전면부에서 해당되는 장비로 연결하는 Rack 내부에서 사용하는 잘 휘어지는 광케이블입니다.
FO 점퍼코드의 스위치 연결 : 스위치는 광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SFP포트이며 일반적인 스위치는 오른쪽 끝 부분입니다. 지식이라는 USB처럼 생긴걸 먼저 스위치에 삽입하고, FO 점퍼코드를 지빅에 연결하는 구조입니다.
LAN 케이블 : 스위치 포트에서 컴퓨터 및 기타 장비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1. 광케이블의 연결
Rack 내부의 FO Patch Panel과, Rack으로 들어온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입니다.
2. 융착 후 슬리브로 보호
광코어는 앞에서 다룬 것처럼 아주 얇은 광섬유라 융착기의 연결 후 위와 같이 보호 슬리브를 입혀줍니다.
3. FO Pacth Panel의 완성
연결된 나머지 끝부분은 Patch Panel의 전면부 커넥터로 나옵니다.
알고 보면 쉬운 과정이지만, 처음 접하면 알기까지 오래 걸리는 부분인 것 같네요..
'System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주소의 구조, CIDR이란? IP주소로 위치 확인 (0) | 2021.08.27 |
---|---|
MAC Address(맥주소)란? 장비별 제조사 확인법 (0) | 2021.08.27 |
실드(차폐)케이블 (Shielded Cable) 이란? (0) | 2021.04.30 |
LAN Cable (Cat6 Network Cable) 이란? (0) | 2021.04.29 |
Billing Software [Cisco CUCM], 통화 사용량 분석 (0) | 2021.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