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배우기/경제

부산광역시 인구 감소 2036년 300만명 (15년후)

by Opendoors. 2021. 1. 12.
반응형

부산광역시 인구는 다른 시도와는 틀리게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3년(2018~2020) 평균 년 2만 7000명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2만7000명 인구 지속 감소 시 아래 그리프와 같이 2036년에는 300만 이하로 떨어지게 됩니다.

(2만7000명 지속 감소 적용 시)

 

 

물론 정책을 펼쳐 감소율을 올릴 수 있지만, 인구수가 줄어드는 현재 딱히 좋은 대안이 없는 상황입니다.

 


부산광역시 인구 통계 (1991년~2019년)

출처 : 통계청

1990년대 400만에 가까웠던 인구는 점차 줄어 2019년에는 346만을 기록하였습니다.

1991년 390만

2019년 346만 (11% 감소)

2020년 10월 344만


부산광역시 인구 통계 (2020년 8월~10월)

출처 : 통계청

2020년 10월 자료는 345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부산광역시 인구유출 원인

부산광역시 인구유출의 원인은 크게 아래 2가지로 확인됩니다.

1) 출산 감소 (전국적인 상황)

2) 전출 증가 (학업, 직장)

 

출산 감소는 대한민국의 전반적인 변화 상황이라 대처할 방법이 없는 게 현실이지만, 전출의 지속적인 증가는 교육 및 학업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이라 인식됩니다.

 

아래의 비교자료인 인천시, 대구시와 비교해보면 단순한 인구감소의 원인이 아닌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구글유엔인구


부산광역시 인구 감소로 인한 문제 (개인적 의견)

위 상황을 바탕으로 한 아래의 문제점이 예측 가능합니다..

 

1) 교육시스템 축소

초/중/고/대학의 인원 미달로 교육 관련 사업이 악화됩니다. 

 

2) 경기침체 및 소비패턴 변화

노동인구 감소로 인한 소비가 줄어들며, 노령화 인구에 따른 소비패턴이 크게 바뀝니다.

다른 시도에 대비해 빠른 인구감소로 많은 기업 및 단체에서 주목해서 분석을 하겠네요..

 

3) 부동산 거래량 감소

수요가 없으니 당연히 부동산 거래량이 감소될 예정입니다..

교통망이 좋은 시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은 거래가 힘들어지겠네요...


결론

인구 감소는 호재가 될 수 없는 악조건입니다..

모두들 2021년을 기준으로 향후 10년간 경제판도가 개편된다고들 하는데요.. 

변화되는 상황들, 그리고 변화의 흐름들을 읽어 올바른 투자를 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돈으로 하는 투자만이 투자가 아닌, 인생에서 보내는 시간들도 투자에 속하니까요..

 

 

반응형

'경제 배우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디지털 화폐 (DCEP)  (0) 2021.01.17
코스피, 신용대출, 비트코인  (0) 2021.01.12
2021년 1월 일본 긴급사태 재발령  (0) 2021.01.10
2021년 경제에 관심을 가지며  (0) 2021.01.10
2021년 인플레이션  (6) 2020.12.31

댓글